본문 바로가기

생활 & 경제 정책

환율 상승의 원인과 한국에 미치는 문제점

반응형

2024년 4월 16일 환율이 1393원을 찍었다. 이는 곧 1400원을 예상할 수 있는 기록적인 시세인데, 이러한 환율 상승의 원인은 무엇이며, 한국에는 어떠한 영향을 미칠지 알아보자

 

1. 1400원을 향하는 환율


가. 최근 환율 변동 추이

최근 환율이 1,400원에 근접하는 시세를 보이는데 4월 16일 1달러당 1393원을 기록하였다. 이는 과거 IMF 당시 2,000원을 돌파한 국가 경제적 파산의 특이점을 제외하고는 처음 있는 기록적인 시세이다. 

2024년 4월 16일 장중 1393원을 찍은 원달러 환율
4월 19일 기준 원달러 환율 (네이버 출처)

 

나. 환율 상승 문제점

한국으로서는 물가상승의 안정성을 기대하였지만, 원달러 환율의 상승으로 불확실성이 매우 커지고 있다. 한국의 소비자 물가지수는 3%대로 여전히 높지만 하반기에 갈수록 낮아질 것으로 기대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원달러 상승의 영향으로 물가지수의 안정을 기대할 수 없다.

 

대표적으로 최근 상반기 물가상승을 주도하는 농산물의 경우에는 상승비율의 30%를 차지하고 있는데, 이는 중앙은행의 금리 조정으로도 잡을 수가 없다. 또한 중동의 전쟁으로 인한 국제유가의 상승으로 소비자과 기업의 비용증가로 이어지게 될 것으로 보이는데, 그렇지 않아도 평소에 한국의 문제가 된 낮은 전기, 도시가스, 교통비 요금들의 인상 압박이 강하게 되면서 5월에 인상이 예상된다.

 

어떤 사람들은 단순히 수출 경쟁력으로만 바라보지만, 과거에는 고환율의 경우 수출의 호재로 여겼지만 지금은 고환율로 인하여 수입물가가 올라가게 되어 원자재 가격의 상승으로 수출마진 감소로 이어지는 결과를 초래한다. 그렇게 된다면 기업들은 투자에 위축이 되어 성장이 후퇴하는 악순환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2.  환율 상승의 원인


가. 미국의 영향

환율상승 시, 가장 근본적으로 미국의 경제 상황을 바라보는 것이 옳다. 

 

미국도 역시 물가가 점차 안정될 것으로 보았으나, 상승하고 있다. 특히 서비스 부분의 인플레이션이 연환산으로 6%가 상승하고, 그 외 임대료, 교통비, 서비스 등이 근원소비자 물가 상승을 주도하고 있다.

 

그리고 이러한 물가상승은 연준이 당초 계획한 2024년 3회의 금리인하 계획을 틀어지게 하였다. 오히려 매파적 성향의 위원들은 금리 상승을 이야기하는데, 애초에 물가안정이 목표인 연준으로서 금리 인하는 당장에 힘들다.

 

그러나 현재 미국은 2024년 11월에 있을 대선의 영향으로 바이든은 어떻게든 물가 안정과 금리인하라는 목표를 잡기 위하여 보유 원유를 풀고 생산을 늘리는 등으로 유가안정에 총력을 가하여 물가안정에 영향을 주어 연준이 7월과 9월에 금리를 인하시키도록 노력 중이다.

 

중동의 전쟁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
중동의 전쟁이 국가에 미치는 영향

나. 중동의 영향

우크라이나와 러시아 전쟁의 장기전이 지속되는 가운데, 이스라엘과 하마스의 전쟁이 시작된 이후 이스라엘의 이란 영사관 폭격 후 이스라엘과 이란의 전쟁으로 확산되어 갔다. 이러한 영향으로 국제유가는 상승하여 두바이유가 배럴당 90달러를 돌파하고 향후 130달러를 돌파할 수 있다고 예상한다.

 

이러한 전쟁이 발발하게 되면 안전자산인 달러에 대한 수요가 증가하게 되어 원화가치가 하락한다. 이는 원달러 환율에 영향을 주어 현재 1,400원 이상의 고환율을 예상하게 되었다. 

 

그리고 유가상승은 자연스럽게 모든 생산, 소비, 물가에 영향을 끼치게 되면서 물가상승을 압박하게 되었다.

 

다. 한국의 영향

중동 전쟁의 영향과 유가상승, 그리고 미국의 금리 영향으로 인하여, 한국의 원달러 상승으로 이어지게 되었다. 그럼 앞으로는 어떻게 될까?

 

A.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게 되면, 외국인의 매수세가 약화되고 특히 4월 배당의 계절에 외국인들은 대부분의 자산을 팔고 떠날 수 있다. 

 

B. 고유가와 고환율로 인하여 물가상승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게 되어 생산과 소비, 투자에 악영향으로 성장이 후퇴한다.

 

C. 미국이나 일본 등과 같은 국가들은 인플레이션이 왔지만 동시에 임금이 상승하는 등 국가 성장률이 상승하였다. 그러나 한국의 경우 현재 임금은 오히려 줄어들면서 물가상승의 압박을 받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국가 간의 격차를 더욱더 넓히는 결과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반응형